순환출자: 구조, 규제, 최근 사례(사조그룹 포함)와 투자자 체크리스트
A→B→C→A로 이어지는 지분 고리가 왜 위험한가? 2013년 이후 한국의 규제, 2024~2025년 이슈, 그리고 투자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#지배구조
#순환출자
#ESG
Investor Focus
1) 순환출자란?
동일 기업집단 내에서 A→B→C→A처럼 세 회사 이상이 서로를 고리로 보유하는 구조를 말합니다. 실질적인 현금 유입 없이도 장부상 자본이 부풀어 보일 수 있고, 총수 일가는 낮은 직접 지분으로도 광범위한 지배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공정거래법상 정의: 계열회사들이 3개 이상의 연쇄적 출자로 서로 발행회사이자 출자회사가 되는 관계를 순환출자로 봅니다.
2) 규제 프레임워크(2013~현재)
- 2013년 개정: 신규 순환출자 금지, 기존 고리는 공시 의무.
- 상법: 손자회사의 모회사 주식 보유 제한 등으로 간접적인 차단 장치.
- 최근(2024~2025): 해외 계열사를 활용한 우회 순환출자 의혹이 제기되며, 규제 범위를 해외까지 확대하는 논의가 진행 중.
규제 방향은 “고리 단순화·투명성 강화”에 수렴합니다.
3) 최근 이슈 & 사례
3-1) 사조그룹(상장계열 다수) — 고리 수와 공시 이슈
사조그룹은 2025년 기준 공정위·금감원 자료 인용 보도에서 1426~1462개의 순환출자 파생 경로/고리가 거론되었습니다. 숫자 산출 방식(독립 고리 vs 파생 경로 계산)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, 핵심은 고리 복잡성이 과도하다는 점입니다.
| 포인트 | 내용 |
|---|---|
| 고리 예시 | 사조시스템즈→사조산업→사조씨푸드→사조동아원→사조대림→사조시스템즈 / 사조시스템즈→사조대림→사조오양→사조씨푸드→사조원→사조시스템즈 등 |
| 리스크 | 투명성 저하, 회계·법무 관리 비용 증가, 내부거래 왜곡 가능성, ESG(지배구조) 디스카운트 |
| 최근 이슈 | 순환출자 공시 누락 정정(100개 증가) 보도, 대규모기업집단 편입 이후 단순화 착수 보도 등 혼재 |
| 투자자 관전 포인트 | ① 고리 축소 로드맵 유무 ② 내부거래 비중 추이 ③ 주주환원·배당정책과의 연계 ④ 공시 신뢰도 개선 |
3-2) 고려아연 — 해외 계열사 활용 의혹
해외 자회사들을 통한 우회 순환출자 의혹으로 공정위 현장조사 및 정책 논의가 촉발되었습니다. 규제 범위가 해외 계열사로 확대되면 구조 재정비 비용과 밸류에이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.
4) 제재·해소 사례(요약)
- 삼성: 2013년 이후 교차·순환출자 정리 가속. 일부 계열 지분 처분·지배구조 단순화(블록딜 등) 진행.
- 현대차그룹: 2018년 지배구조 개편 계획 발표(모비스·글로비스 재편안), 주주 반응 등을 고려해 수정·재검토 과정을 거치며 단계적 단순화 기조 유지.
- SK: 지주회사 체제 전환과 SK㈜–SK C&C 합병(2015)을 계기로 고리 정리, 외국인 투자자 신뢰 회복에 기여.
해소 과정은 대체로 합병·분할·지분매각·지주화로 진행되며, 비율 산정·세금·소액주주 반발 등 단기 변동성을 수반합니다.
5) 투자자 체크리스트
| 항목 | 확인 포인트 | 왜 중요한가 |
|---|---|---|
| 고리 수 | 독립 고리 vs 파생 경로(집계 방식)까지 확인 | 복잡할수록 정보비대칭·관리비용·규제 노출↑ |
| 총수 일가 지분율 | 직접 지분 대비 실질 지배력 괴리 | 규제·지배구조 개편 타깃 가능성 |
| 내부거래 비중 | 매출·이익의 내부 의존도/가격정책 | 실질 영업력 왜곡·소액주주 불리 |
| 공시 신뢰도 | 순환출자 공시 정정·누락 여부 | 규제 리스크 및 신뢰도 할인 |
| 해소 로드맵 | 합병·분할·지분매각 계획과 일정 | 중장기 밸류에이션 정상화의 전제 |
| 해외 계열사 리스크 | 해외 SPV·자회사의 역할/지배 고리 | 규제 범위 확대 시 충격 크기 결정 |
6) 핵심 요약
- 순환출자는 지배력 과대화와 재무 위험 전이를 초래하기 쉬운 구조.
- 2013년 이후 신규 고리는 금지, 최근엔 해외 계열사까지 규제 확대 논의.
- 사조그룹은 1426~1462 수준의 복잡한 고리가 거론되며, 공시·단순화 이슈가 병존.
- 삼성·현대차·SK는 합병·지주화·지분매각 등으로 단계적 해소를 진행해 왔음.
- 투자자는 고리 수·내부거래·공시 신뢰도·해소 로드맵·해외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점검해야 함.
참고 링크(선별)
- 공정거래법(영문) — 순환출자 정의: KLRI
- 고려아연 순환투자 의혹·현장조사 보도: BusinessKorea(2025-05-28), MK Pulse(2025-05-27), Chosun Biz(2025-06-13), Chosun Biz(2025-09-04)
- 사조그룹 순환출자(고리 수·구조·공시): 뉴스투데이(2025-06-25), 더벨(2025-09-03), 소비자가만드는신문(2025-06-10), 연합인포맥스(2025-08-26)
- 삼성·현대차·SK 지배구조 개편·해소: Reuters(2018-03-27), WSJ(2018-04-29), FinanceAsia(2018-09-21), Korea Herald(2017-12-21), PR Newswire(2018-05-21)
※ 보도 간 ‘1426 vs 1462’와 같은 수치 차이는 독립 고리 집계와 파생 경로 계산 방식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